공무원 평균연봉

올해 공무원 평균연봉이 5990만원으로 근로자 상위 14%에 해당한다는 분석이 나왔는데요.이거 말 그대로 공무원 평균연봉인것이고 모든 공무원이 이정도 금액을 받는것은 아닙니다.우리나라 9급 공무원 경우 초봉이 100만원대 초반입니다.그러면 대략 이것저것 수당 더하면 9급 공무원 연봉 2000~2500만원 정도입니다.

 

 

공무원 평균연봉 5990만원

 

공무원 평균연봉은 상위 연봉자들이 많다보니 평균값을 내어서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온것입니다.그러니 한국납세자연맹이 발표한 올해 공무원 평균연봉은 어떻게 보면 항상 공개되는 말도 안되는 직장인 평균연봉과 비슷한 맥락이라 할 수 있습니다.

 

 

27일 한국납세자연맹은 올해 공무원 평균 연봉이 5990만원으로 2014년 기준 연말정산을 한 근로자 1668만명의 평균 연봉 3172만원 보다 1.9배 많다고 밝혔는데요.공무원 연봉은 근로자 1668만명 가운데 226만8595등에 해당하며 상위 14%의 연봉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무원 평균연봉 근로소득자 2.7배?

 

 

공무원 평균연봉은 근로소득자 전체의 중간연봉 2225만원의 2.7배에 해당하고 평균연봉 3172만원의 1.9배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연맹측은 이번 연봉순위에 사용된 데이터는 올해 국정감사에서 나온 연말정산을 한 근로자 1668만명에 대한 290구간 자료로 오차범위가 최대 ±0.8%로 정확도가 아주 높다고 설명하였습니다.

 

공무원 평균연봉 어떻게 계산했길래?

 

 

공무원 평균연봉은 올해 공무원 전체의 기준소득월액 평균액 491만원을 12개월로 계산하고, 공무원 1인당 복지포인트 평균액 98만원을 더해 집계한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복지포인트 금액은 2013년 복지포인트 총액 1조512억을 2013년 공무원 재직자 107만2610명으로 나눈 금액을 말합니다.

 

내년 공무원 봉급 인상된다?

 

지난 26일 인사혁신처는 ‘공무원 보수규정’과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으며 개정안에 따르면 정부는 공무원의 사기 진작과 물가 인상 등을 고려해 일반 공무원 봉급을 기본급과 수당 등을 포함해 평균 3.5% 인상하기로 하였습니다.

 

 

2013년에는 2.8%, 2014년에는 1.7%에 그쳤던 공무원 봉급은 2015년 3.8%, 2106년 3.0%에 이어 3년 연속 평균 3%대 인상을 기록하게 된 것인데요. 2017년 공무원 봉급인상 개정안은 국무회의를 거쳐 내년 1월부터 시행될 예정인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허나 모든 공무원 연봉 인상 되는것은 아닙니다. 2017년 차관급 이상 정무직 공무원의 보수를 동결한다고 인사혁신처가 밝혔거든요.

 

 

보수동결 대상자는 463명으로, 행정부는 장·차관급 이상 정무직 공무원 137명, 정무직 공무원에 준하는 국립대학 총장, 군인 중장 이상 등 161명이며 국회·법원·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 헌법 기관의 정무직 공무원 등은 165명입니다.

 

 

현재 대통령의 연봉은 2억1천201만8천원, 국무총리는 1억6천436만6천원, 부총리와 감사원장은 1억2천435만2천원, 장관은 1억2천86만8천원이며 차관급 이상 공무원 연봉 동결로 내년도 동일합니다.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공무원 평균연봉에 대하여 한국 납세자 연맹은 스웨덴 등 복지국가의 경우 공무원의 보수가 중간연봉이나 평균 연봉 수준이며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공무원이 상위 14% 수준의 고임금을 받는 것이 공무원 지원 열풍과 심각한 불평등 요인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이어 상위 14%의 공공부분 일자리가 늘어나면 그 많은 급여와 공무원연금을 내기 위해 공무원보다 가난한 다수 국민들은 세금을 더 내고 더 가난해진다고 지적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직장인 평균연봉은 얼마나 될까요?

 

 

‘2015년도 소득분위별 근로자 평균연봉 분석’ 결과에 따르면 근로자 중 상위10%의 평균연봉은 6432만원 이상, 상위 20%는 4625만원 이상, 상위 30%는 3640만원 이상, 상위40%는 3000만원 이상, 상위 50%는 2500만원 이상인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분위란 전체 임금근로자를 연봉수준에 따라 하위 1분위부터 상위 10분위까지 10%씩 10단계로 분류하는 것을 말하는데요.지난해 근로자의 평균연봉은 3281만원이었으며 소득분위별 평균연봉은 10분위(상위 10% 이상) 9452만원, 9분위(10~20%) 5428만원, 8분위(20~30%) 4096만원, 7분위(30~40%) 3323만원, 6분위(40~50%) 2754만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어 5분위(50~60%) 2316만원, 4분위(60~70%) 1936만원, 3분위(70~80%) 1620만원, 2분위(80~90%) 1273만원, 1분위(90~100%) 601만원으로 나타났는데 근로자의 평균연봉은 2014년 3234만원에서 2015년 3281만원으로 47만원(1.5%) 올랐고, 중위연봉은 2014년 2465만원에서 2500만원으로 35만원(1.4%) 증가했습니다.

 

 

근로자 특성별 연봉 수준을 살펴보면, 지난해 대기업 정규직 평균연봉은 6544만원으로, 소득상위 9.5%에 해당하였으며 중소기업 정규직 평균연봉은 3363만원으로 소득상위 34.1%에 해당했습니다.2014년 대비 대기업 정규직의 평균연봉은 266만원(4.2%), 중소기업 정규직의 평균연봉은 40만원(1.2%) 올랐습니다.

 

 

결국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연봉이 대기업 근로자 평균연봉의 절반에 그치는 상황에서 중소기업 근로자의 연봉상승률마저 대기업 근로자에 크게 모자라, 대ㆍ중소기업 근로자간 임금격차는 점점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연봉 및 한국 납세자연맹의 공무원 평균연봉 알아보았는데 많은분들이 직장인 평균연봉보다 공무원 연봉이 너~무 많이 받는거 아니냐? 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앞서 얘기했듯이 모든 공무원이 이정도 되는 금액을 받는것은 절대로 아닙니다.오해하지마세요.